2013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발간 |
작성자 : 관리자 |
작성일 : 2014-06-30 15:43:07 조회수 : 4731 |
파일 :
|
|
『2013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』발간
65세 이상 노인(619만명) 中 6.1%인 37만 8천명 등급내 장기요양 인정(6.1%)
전체 요양급여비는 3조 5천억원, 공단부담금은 3조 8백억원
시설급여 공단부담금은 1조 6천억원, 재가급여는 1조 4천 8백억원 … 시설급여가 많아
국민건강보험공단(이사장 김종대)은『2013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』를 통해 2013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주요실적을 발표하였다.
(장기요양인정) 2013년말 기준 65세 이상 노인 619만명 중 11.1%인 68만 6천여명이 장기요양신청을 하였고, 이 중 54만여명의 판정을 진행하여 37만 8천명이 등급내 인정(1∼3등급)을 받았다. 노인인구대비 인정률이 2009년 5.4%에서 2013년 6.1%늘어났는데 이는 후기노령인구의 증가와 인정기준 완화정책(인정점수 53점→51점)등의 요인으로 분석된다.
(단위 : 명)
장기요양인정률
구 분 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노인인구 (65세이상) |
5,286,383 |
5,448,984 |
5,644,758 |
5,921,977 |
6,192,762 |
신청자 |
522,293 |
622,346 |
617,081 |
643,409 |
685,852 |
판정자 (등급내+등급외) |
390,530 |
465,777 |
478,446 |
495,445 |
535,328 |
인정자 (판정 대비 인정률) |
286,907 |
315,994 |
324,412 |
341,788 |
378,493 |
(73.5%) |
(67.8%) |
(67.8%) |
(69.0%) |
(70.7%) |
노인인구 대비 인정률 |
5.4% |
5.8% |
5.7% |
5.8% |
6.1% |
(장기요양보험 급여실적) 2013년말 기준 장기요양보험 총 연간 요양급여비(환자부담금+공단부담금)는 3조 5,234억원이었고, 공단부담금은 3조 830억으로 공단부담률은 87.5%를 나타냈다. 급여이용수급자 1인당 월평균 급여비는 996,714원으로 전년대비 4.2%증가하였다.
장기요양보험 급여실적
구 분 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급여이용수급자(명) |
291,389 |
348,561 |
360,073 |
369,587 |
399,591 |
급여제공일수(만일) |
5,115 |
7,357 |
7,938 |
8,034 |
8,585 |
요양급여비(억원) |
19,718 |
27,456 |
29,691 |
31,256 |
35,234 |
공단부담금(억원) |
17,369 |
24,023 |
25,882 |
27,177 |
30,830 |
공단부담률(%) |
88.1 |
87.5 |
87.2 |
86.9 |
87.5 |
급여이용수급자 1인당 월평균 급여비(원) |
952,163 |
958,652 |
944,916 |
956,986 |
996,714 |
급여이용수급자 1인당 월평균 공단부담금(원) |
838,912 |
838,915 |
823,727 |
832,132 |
872,106 |
주1) 공단부담률 = 공단부담금/급여비
2) 급여이용수급자 1인당 월평균 급여비(공단부담금) = (월간 급여비(공단부담금)/월간 급여이용수급자 수)의 평균
(유형별 공단부담금 현황) 공단부담금 3조 830억원 중 재가급여는 1조 4,864억원으로 전체대비 점유율이 48.2%이었고, 시설급여는 1조 5,966억원이었다. 세부유형별로 나누어 보면, 재가급여는 방문요양이 79.0%를 점유하여 가장 높았고, 시설급여는 노인요양시설이 85.6%를 점유하였다.
(단위 : 억원, %)
유형별 공단부담금 현황
구 분 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급여비 |
비율 |
급여비 |
비율 |
급여비 |
비율 |
급여비 |
비율 |
급여비 |
비율 |
장기요양 공단부담금 계 |
17,369 |
|
24,023 |
|
25,882 |
|
27,177 |
|
30,830 |
|
재가급여 |
9,856 |
100.0 |
13,740 |
100.0 |
13,704 |
100.0 |
13,303 |
100.0 |
14,864 |
100.0 |
방문요양 |
7,334 |
74.4 |
11,296 |
82.2 |
11,415 |
83.3 |
10,724 |
80.6 |
11,736 |
79.0 |
방문목욕 |
406 |
4.1 |
691 |
5.0 |
712 |
5.2 |
707 |
5.3 |
736 |
4.9 |
방문간호 |
62 |
0.6 |
62 |
0.4 |
58 |
0.4 |
70 |
0.5 |
73 |
0.5 |
주야간보호 |
618 |
6.3 |
731 |
5.3 |
837 |
6.1 |
958 |
7.2 |
1,279 |
8.6 |
단기보호 |
843 |
8.6 |
323 |
2.3 |
67 |
0.5 |
89 |
0.7 |
150 |
1 |
복지용구 |
592 |
6.0 |
637 |
4.6 |
614 |
4.5 |
756 |
5.7 |
891 |
6 |
시설급여 |
7,513 |
100.0 |
10,283 |
100.0 |
12,178 |
100.0 |
13,874 |
100.0 |
15,966 |
100.0 |
노인요양시설(현행법) |
2,118 |
28.2 |
3,883 |
37.8 |
5,646 |
46.4 |
7,571 |
54.6 |
12,626 |
79.1 |
노인요양시설(구법) |
1,569 |
20.9 |
1,373 |
13.4 |
1,139 |
9.3 |
913 |
6.6 |
225 |
1.4 |
노인전문요양시설(구법) |
3,403 |
45.3 |
3,383 |
32.9 |
3,111 |
25.5 |
2,864 |
20.6 |
811 |
5.1 |
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|
424 |
5.6 |
875 |
8.5 |
1,268 |
10.4 |
1,571 |
11.3 |
2,057 |
12.9 |
노인요양시설(단기보호전환) |
|
|
768 |
7.5 |
1,014 |
8.3 |
955 |
6.9 |
246 |
1.5 |
(장기요양기관 현황) 2013년말 장기요양기관은 15,704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재가기관은 11,056개소로 70.4%, 시설기관은 4,648개소로 29.6%를 점유하였다.
(단위: 개)
장기요양기관 현황
구 분 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재가 |
시설 |
재가 |
시설 |
재가 |
시설 |
재가 |
시설 |
재가 |
시설 |
계 |
11,928 |
2,628 |
11,228 |
3,751 |
10,857 |
4,061 |
10,730 |
4,326 |
11,056 |
4,648 |
서 울 |
1,741 |
272 |
1,809 |
425 |
1,828 |
439 |
1,809 |
476 |
1,913 |
521 |
부 산 |
914 |
106 |
829 |
158 |
748 |
143 |
728 |
145 |
712 |
134 |
대 구 |
644 |
68 |
601 |
135 |
569 |
177 |
576 |
203 |
601 |
251 |
인 천 |
591 |
131 |
545 |
206 |
552 |
229 |
561 |
247 |
609 |
282 |
광 주 |
430 |
58 |
462 |
91 |
434 |
95 |
416 |
96 |
418 |
100 |
대 전 |
459 |
61 |
439 |
88 |
405 |
94 |
395 |
104 |
421 |
102 |
울 산 |
211 |
30 |
162 |
42 |
161 |
42 |
161 |
40 |
156 |
40 |
세 종 |
- |
- |
- |
- |
- |
- |
27 |
12 |
23 |
11 |
경 기 |
2,455 |
781 |
2,321 |
1,078 |
2,253 |
1,172 |
2,210 |
1,254 |
2,245 |
1,366 |
강 원 |
392 |
152 |
328 |
185 |
338 |
208 |
345 |
222 |
364 |
238 |
충 북 |
320 |
155 |
315 |
213 |
312 |
224 |
300 |
237 |
298 |
243 |
충 남 |
543 |
139 |
567 |
209 |
546 |
238 |
515 |
238 |
519 |
251 |
전 북 |
704 |
162 |
619 |
190 |
573 |
203 |
571 |
214 |
597 |
221 |
전 남 |
766 |
175 |
635 |
245 |
593 |
259 |
567 |
271 |
596 |
284 |
경 북 |
833 |
159 |
715 |
244 |
689 |
277 |
718 |
298 |
749 |
321 |
경 남 |
802 |
144 |
758 |
194 |
728 |
213 |
709 |
215 |
704 |
221 |
제 주 |
123 |
35 |
123 |
48 |
128 |
48 |
122 |
54 |
131 |
62 |
주) 각 연도말 기준, 지정 운영되고 있는 기관 수
(장기요양기관 인력현황) 2013년말 기준 요양보호사는 252,663명으로 전년대비 8.2%증가하였고, 사회복지사는 7,506명으로 전년대비 11.2%증가하였으며, 간호조무사는 7,552명으로 전년대비 15.1%증가하는 등 전체적으로는 인력이 늘어나는 추세이나, 간호사는 2009년도부터 매년 종사인력이 줄어드는 추세이다.
(단위 : 명)
장기요양기관 인력현황
구 분 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합계 (재가+시설) |
사회복지사 |
4,944 |
5,862 |
6,133 |
6,751 |
7,506 |
의사(촉탁포함) |
852 |
997 |
1,081 |
1,142 |
1,233 |
간호사 |
3,096 |
2,986 |
2,838 |
2,735 |
2,627 |
간호조무사 |
3,873 |
5,069 |
5,859 |
6,560 |
7,552 |
치과위생사 |
19 |
17 |
7 |
7 |
4 |
물리(작업)치료사 |
1,207 |
1,412 |
1,530 |
1,626 |
1,740 |
요양보호사 |
172,889 |
228,955 |
232,639 |
233,459 |
252,663 |
영양사 |
660 |
719 |
776 |
835 |
918 |
주1) 각 직종내 중복인원 제거(의사+촉탁의, 물리+작업치료사, 요양보호사1급+2급)
주2) 계는 급여종류별 중복인원 제거
(장기요양보험료부과) 2013년 장기요양보험료 부과액은 2조 5,421억원으로 직장보험료는 2조 748억원, 지역보험료는 4,673억원을 보여 직장 비중이 81.6%로 나타났다. 세대당 월평균보험료는 개인부담 기준으로 5,696원을 부담하였으며 1인당 월평균보험료는 2,516원을 부과하였다.
(단위: 억 원)
장기요양보험료부과
구 분 |
2012 |
2013 |
전체 |
1분기 |
2분기 |
3분기 |
4분기 |
보험료(억 원) |
23,697 |
25,421 |
5,884 |
7,134 |
6,219 |
6,184 |
직장 |
19,114 |
20,748 |
4,693 |
5,966 |
5,075 |
5,014 |
지역 |
4,582 |
4,673 |
1,191 |
1,168 |
1,144 |
1,170 |
세대당 월평균 보험료(원) |
5,476 |
5,696 |
5,401 |
6,303 |
5,561 |
5,520 |
직장 |
5,792 |
6,025 |
5,568 |
6,963 |
5,849 |
5,726 |
지역 |
4,916 |
5,078 |
5,099 |
5,078 |
5,013 |
5,123 |
1인당 월평균 보험료(원) |
2,381 |
2,516 |
2,372 |
2,780 |
2,461 |
2,453 |
직장 |
2,352 |
2,489 |
2,283 |
2,871 |
2,422 |
2,381 |
지역 |
2,442 |
2,579 |
2,569 |
2,573 |
2,551 |
2,623 |
(장기요양보험료징수) 2013년 장기요양보험료 징수액은 2조 5,079억원으로 누적징수율은 98.7%달성하였다. 직역별로 나누어 보면, 직장징수율은 99.4%, 지역징수율은 95.3%를 보였다.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2012년보다 0.2%p 높은 징수율을 보였다.
(단위 : 억원)
장기요양보험료징수
구 분 |
2012 |
2013 |
전체 |
1분기 |
2분기 |
3분기 |
4분기 |
부 과 액 |
23,697 |
25,421 |
5,884 |
7,134 |
6,219 |
6,184 |
직장 |
19,114 |
20,748 |
4,693 |
5,966 |
5,075 |
5,014 |
지역 |
4,582 |
4,673 |
1,191 |
1,168 |
1,144 |
1,170 |
징 수 액 |
23,330 |
25,079 |
5,768 |
7,050 |
6,090 |
6,170 |
직장 |
18,986 |
20,625 |
4,635 |
5,924 |
5,013 |
5,054 |
지역 |
4,344 |
4,454 |
1,134 |
1,127 |
1,078 |
1,116 |
징 수 율(%) |
98.5 |
98.7 |
98.0 |
98.8 |
97.9 |
99.8 |
직장 |
99.3 |
99.4 |
98.8 |
99.3 |
98.8 |
100.8 |
지역 |
94.8 |
95.3 |
95.2 |
96.5 |
94.2 |
95.4 |
주) 보험료는 직장가입자의 사용자부담금 포함
|
|